한 환자의 문제를 진단하기 위해서는 그 사람의 정신과적 장애 여부뿐만 아니라 직업적 흥미나 대인관계 양상, 적성 등 다양한 측면에 대한 이해가 필요합니다. 이런 분석을 도와주는 것이 바로 심리검사를 이용한 심리평가인데요. 저는 심리평가를 토대로 개인의 사례를 개념화하여 심리치료와 상담, 자문, 교육의 역할을 맡고 있습니다. 임상심리학자로 외길만 달려왔는데 어느덧 25년이 되었어요. 병원에서의 경험만 17년입니다. 저의 천직이며 소명이라 생각하고 기쁘고 보람 있게 일하고 있습니다.
시울에서 환자분들을 만나다 보면 단지 직업적 역할이 아닌 한 분 한 분의 삶에 깊이 공감하게 될 때가 있습니다. 저는 공감이란 그 사람의 삶에 걸어들어 가는 것이 아닐까 생각해요. 같은 것을 보고 같은 것을 듣고 같은 것을 느끼고 그것을 내담자에게 상담자는 거울을 비추듯이 비추어 주는 거예요. 그럼 내담자는 그것을 토대로 더 좋은 선택을 할 수 있고 그런 선택이 상담자인 저까지 행복하게 만드는 것 같습니다.
많은 분들이 어려움을 안고 시울을 찾아오십니다. 환자분의 이야기를 들을 때 공감을 받고 있다는 표정을 만나면 그 순간이 저를 보람되게 만듭니다. 그리고 도움이 되었다는 말을 들으면 저는 세상에서 가장 행복한 사람이 됩니다.
-
“스스로 ‘심리치료를 한다는 명목하에 가르치거나 지시하는 사람이 되지 말아야지’라는 생각을 의식적으로 계속하고 있습니다.”
김민주, 심리치료사 더 읽기
-
“삶을 살아가면서 행복하고 웃을 일만 있다면 얼마나 좋을까요. 저 또한 한가정의 아내이자 엄마이자 며느리로써 마음이 많이 아프고 힘들었던 적이 있었거든요.”
문소현, 간호사 더 읽기
-
“저희 병원 방문하시는 한 분 한 분 다 마음이 가지만 특히 중고등학생들이 아파서 찾아올 때 더욱더 애착이 가는데요. 제가 중학생 딸들을 둔 엄마라 더 그런 거겠지요.”
이수현, 간호사 더 읽기
-
“마음의 귀를 연다는 게 말로는 이해하고 생각할 수 있지만, 솔직히 행동으로 옮겨지기까지의 과정이 쉽지만은 않은 거 같아요.”
고효은, 간호사 더 읽기